
민간정원 지원사업, “44% 압도적 지원을 위해 산림조합장에 외압 정황도 포착, 해당 민간정원에 불법건축물 등도 적발, 지원사업 인력에 대한 부당한 과업지시, 공원녹지관련 국장출신 전직공무원 영향력 부당한 행사” 등이 지적 됐다.
13일 천영기 통영시장이 “특정 정원에 편중된 자원 형평성 논란과 인력 운영과정 등에서 민원이 제기 돼 운영전반에 대한 개선책을 마련 중” 이라며 민간정원 지원사업 특정인 배제에 대한 반박 기자회견 및 브리핑을 가졌다.
이날 질의 응갑시간에 “전국 251개 자자체 중 21개, 경남 지자체 중 통영, 진주, 양산 3개 시만 민간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데 통영이 재정자립도도 낮고 인구감소 경기불황 등 직면한 상황에 비추어 볼 때 민간정원 지원사업은 경제적 어려움을 실감하는 통영의 많은 자영업자들에게 상대적으로 불합리함과 박탈감을 초래하고 있다. 민간 정원 지원사업에 대해 재검토가 필요하지 않나?”는 질문에 대해 천영기 시장은 “신중한 재검토의 필요성을 고려하겠다”고 밝히며 지원사업 폐지 의사도 내포했다.
지난 8일 민간정원 지원사업에 참여중인 통영관내 5개 민간정원 중 물빛소리정원 이충환 대표가 천영기 통영시장의 부당한 권한 남용과 선택적 행정에 대해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가진 바 있다.
특히, 천영기 시장의 직접지시에 의해 물빛소리정원에 대한 지원이 배제된 것은 직권남용이라고 강하게 규탄하며 천 시장이 별다른 사유 설명 없이 물빛소리정원에서 진행되던 지원사업을 갑작스레 중단시켰고, 이후 해당 정원을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지시했다는 주장을 했다.
13일 천영기 통영시장은 이같은 물빛소리정원 이충환 대표의 주장을 강력하게 반박하고 지원을 잠정 중단케 한 연유에 대해 “민간정원 지원사업에 참여 중인 정원관리인들로부터의 과도한 업무량 및 작업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불만과 더불어, 특정 민간 정원에 편중된 인력 투입이 과연 바람직한지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또 천 시장은 “12일 직접 관련부서 과장 등 해당 정원에 대해 현장점검을 해본 결과 불법건축물 등도 확인하게 되었으며, 5개 정원 중 본인이 44%의 압도적 지원을 받기 위해 수차례 산립조합장에게 외압을 넣은 것도 확인됐다.조합에 확인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천 시장은 “통영시는 작년과 올해 2년연속 특별히 예산을 확보하여 타 지자체보다 적극적으로 민간정원에 대한 지원을 하고 있었다”고 밝히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원사업 투입 인력들에 의한 ‘특정인에 대한 특혜, 특권’ 의혹이 제기되면서 "예산은 시민들이 납득할 수 있도록 공정하고 형평성있게 집행돼어야 한다고 판단" 제동을 걸 수 밖에 없었다는게 반박기자회견의 요지로 받아들여진다.
경남타임즈

